동방미디어 주식회사

KoreaA2Z
메뉴 검색

제품소개
Product Descriptions

  • 생태시학론
    ㆍ제1강몸과 근대시와의 관계: 소월과 지용의 경우 ㆍ제2강엇으로 나타나는 흰그늘 ㆍ제3강엇과 멋과 한(恨): 이육사의 시편 및 후렴 ㆍ제4강추(醜)의 미학과 숭고미: 육사의 「광야」 ㆍ제5강활동하는 무(無)와 자유: 육사의 「광야」, 만해의 「반비례」 ㆍ제6강이상, 극렬(極烈)의 모더니스트 ㆍ제7강이상 시의 심층적 읽기: 미래파와 다다이즘 ㆍ제8강1930-1945년 문학의 현대적 재해석 ㆍ제9강시와 행갈이와 미적 패러다임: 임화, 서정주, 추사의 미학 ㆍ제10강일제말 젊은 시인들의 행갈이론: 이용악, 백석, 노천명, 金凡夫
    GO
  • 시창작론
    ㆍ제1강 나는 왜 시를 쓰게 되었나 - 인간의 원초적 삶의 지점에서 시는 태어난다 - 왜 시적 표현은 사람마다 다른가? - 표현 욕구란 무엇인가? - 예시: 한용운의 「님의 침묵」과 , 김용택의 「섬진강 3 ㆍ제2강 시는 내 삶의 이야기이다 - 시는 자신만의 어법으로 세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- 시와 소설의 이야기 방식의 차이 - 간접 체험이 한 편의 시가 되기까지 - 문제 의식의 자기화 과정과 본질에 대한 자기 검증 - 자기 고백에 대한 사회적 관습: "커밍아웃(coming out)은 시쓰기의 기본 사항이다" - 예시: 서정주의 「자화상」 분석, 안도현의 「너에게 묻는다」 - 과제: 배우자의 입장에서 나를 소개하는 글쓰기 ㆍ제3강 시는 내 삶의 이야기이다 - 자기화된 세계의 의미 - 시쓰기의 딜레마: ① 풍경 묘사의 상투성, ② 내면 감정의 추상적 관념성 - 예시: 조운의 「석류」 분석 제4강 김수영의 시론: 사랑을 통한 진실의 발견 - 김수영 시론: "시는 온몸으로 쓰는 것이다" - 사랑의 속성에 대한 이해 - 시적 언어의 세계란 무엇인가? - 미감(美感)의 충격 - 시의 대상의 예: IMF 체제, 통일 등 - 예시: 고형렬의 「북한에 가고 싶지 않다」 ㆍ제5강 시의 명료성과 불명료성, 불협화와 비규범성 - 시의 추상성이 갖는 불확실성 - 불투명성과 애매모호성의 장점은 어떻게 구분되는가? - 예시: 문병란의 「직녀에게」, 이윤학의 「갇힌 방」, 김수영의 「거미」 - 불명료성은 어떻게 생성되는가? - 현대시의 특질: 불협화음과 비규범성 ㆍ제6강 이 세계를 어떻게 시적으로 인식할 것인가? - 개인의 세계 이해 방식 - 사라지는 명사(名詞)와 떠오르는 동사(動詞) - 대중가요 속에 나타난 동사(動詞) - 명사(名詞)가 사라지는 현상의 의미 - 시의 언어는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가? ㆍ제7강 자연과학적 인식의 시적 차용 - 김혜순 시인의 경우 - 글쓰기 방식의 차이: '손'과 ‘'컴퓨터 자판' - 예시: 「어머니 달이 눈동자 만드시는 밤」, 「달력 공장 공장장님 보세요」 분석 - 김혜순 시인의 시론: 여성의 몸으로 환원된 패러독스 ㆍ제8강 신춘문예 당선작 읽기(1) - 신춘문예의 경향성 - 시인의 자세와 소양 - 예시: 이기인의 「 방직공장의 소녀들」 ㆍ제9강 신춘문예 당선작 읽기(2) - 의 표현 - 예시: 이덕완의 「건봉사 불이문」 분석 - 분단에 대한 인식과 시의 역할 - 습작기의 문제와 좋은 시인이 되는 길 ㆍ제10강 작품이 씌어지는 내적 과정 - 습작시 분석을 중심으로 - 수사법의 현대성과 전근대성 - 예시: 「버스 정류장에서」 분석 - 비규범성은 어떻게 가능한가? - 위 시의 문제점 진단 ㆍ제11강 습작시 자세히 읽기(1) - 상투성의 사례들 - 예시: 「폐가에서」, 「정착촌 이야기」 - 왜 시적 감흥을 주지 못하는가? - 스케치와 감동의 크기 ㆍ제12강 습작시 자세히 읽기(2) - 예시: 「샛길」 - 감흥과 감동의 관계 - 시를 감상하는 독자들의 수용 상태 - 주관화에 갇힌 언어들 ㆍ제13강 습작시 자세히 읽기(3) - 예시: 「작약꽃」, 서정주의 「국화 옆에서」 - 과잉된 감정과 관념의 오류 - 선언적 표현의 문제 - 격렬한 언어 표출과 내면 진실의 전달 방해 ㆍ제14강 시쓰기의 긴장과 치열성에 대한 제언 - 엘뤼아르의「자유」 - 「자유」의 영향 - 왜 치열한 긴장인가? - 저항 의지와 시적 서정 - 몽골 체험 - 예시: 임영조의 「자목련」, 유용주의 「울음소리」 및 「겨우살이」 - 인간과 자연의 불화와 자본주의 대안의 모색들 ㆍ제15강 창조적 상상력의 특성 - 서구적 상상력과 동양적 상상력 코드 차이 - 예시: 습작시 「누룽지」, 이시영의 시 「사이」 - 영화 - 쿤데라의 언표 - 보들레르의 상상력의 비유 ㆍ제16강 결론: 현실-또는 문학적 상상력의 수원지 - 는 것 - 상상력의 출구는 현실이다 - 예시: 강은교의 「빨래 너는 여자」 - 생활 속에 녹아든 자연스러운 표현법 - 서정시의 운명: 서정은 죽었는가?
    GO
  • 시창작 실습론
    ㆍ제1강오리엔테이션: 강의 내용 요약 ㆍ제2강시에 대한 제 관점들 : 모방론적 관점, 효용론적 관점, 표현론적 관점, 구조론적 관점 ㆍ제3강여러 언어관에 대한 검토 ㆍ제4강습작시 집중 분석① ㆍ제5강습작시 집중 분석② ㆍ제6강언어의 존재 방식① ㆍ제7강언어의 존재 방식② ㆍ제8강시에서의 리듬과 심상 ㆍ제9강습작시 집중분석 ㆍ제10강시의 구성 요소 ―비유 ㆍ제11강시 이론 및 습작시 분석 ㆍ제12강『인체기행』 소감 발표/상징 ㆍ제13강상징-원형 상징과 집단 무의식 ㆍ제14강현대철학의 이해:인식론과 존재론① ㆍ제15강현대철학의 이해:인식론과 존재론② ㆍ제16강습작품 집중 분석 ㆍ제17강습작품 집중 분석 ㆍ제18강습작품 집중 분석 ㆍ제19강창작의 길, 시인의 길
    GO
  • 시창작 이론과 실제
    ㆍ제1강 자작시 해설: 시집 『온다던 사람 오지 않고』를 중심으로 이재무 시인 대표시 읽기: 재식이, 고구마, 옻나무, 감나무, 신도림역, 벌초, 무덤, 북한산에 올라, 구절리 가는 길, 은행나무, 제부도, 마포 산동네 ㆍ제2강 비유의 개념, 비유적 표현: 기성시 및 습작시 분석 기성시 분석: 김춘수의 「내가 가던 그날은」, 김광균의 「향수」, 황동규의 「브롱스 가는 길」, 김광균의 「추일서정」, 정희성의 「버스를 기다리며」, 박두진의 「꽃」, 이재무의 「단풍」, 이성복의 「당신은 짐승, 별,」, 이동주의 「강강술래」, 김명수의 「바다의 눈」 습작시 합평회: 「메밀꽃 축제」 ㆍ제3강 시와 비유 은유법/제유와 환유/의인법/화자와 어조 기성시 분석: 김춘수의 「나의 하느님」, 정호승의 「우리들 서울의 빵과 사랑」, 윤동주「슬픈 족속」, 이은봉의 「햇무더기야」, 나희덕의 「사표」, 김남주의 「봄날 철창에 기대어」, 고정희의 「지리산의 봄 3 : 연하천 가는 길」 ㆍ제4강 화자/청자의 기능 및 습작시 분석 개성론과 몰개성론 기성시 분석: 노천명의 「男사당」, 김준태의 「호남선」, 김영석의 「썩지 않는 슬픔」, 김수영의 「性」, 김수영의 「어느날 고궁을 나오며」, 조정권의 「山頂墓地·1」, 김수영의 「폭포」 청자의 존재 유형: 최승자의 「누군지 모를 너를 위하여」 습작시 분석: 「메밀꽃」, 「끈」, 「옛 벗에게」, 「철쭉꽃」, 「유퉁국밥집」 행(行)과 연(聯) 만들기 기형도의 「우리 동네 목사님」 ㆍ제5강 시 이론 및 습작시 분석 - '말의 힘'과 창조적 오용 언어의 촉지성 및 창조적 오용의 사례들 기성시 분석: 김소월의 「산유화」, 김수영의 「봄밤」, 백석의 「내가 이렇게 외면하고」 습작품 분석: 「소주(참이슬)」, 「누구를 탓하리까」 ㆍ제6강 시 세계의 3단계: 감각, 정서, 예지 : 과 기형도 시 읽기 시의 세 단계: 감각, 정서, 예지 기성시 분석: 정지용의 「바다 9」, 조지훈의 「낙화」 이재무 시인의 산문「자연의 전언」 감상과 생태주의적 상상력 기형도의 작품세계: 「엄마 걱정」, 「물 속의 사막」, 「노인들」, 「안개」 ㆍ제7강 창작이란 무엇인가: 습작시 분석 기성시 분석: 정지용의 「유리창」, R.M.릴케의 「나는 사람의 말을」, 김춘수의 「꽃을 위한 서시」, 김지하의 「중심의 괴로움」, 이재무의 「팽나무가 쓰러지셨다」 습작시 분석: 「글나무」, 「비둘기의 노래」, 「별나라」, 「낙엽」 ㆍ제8강 시창작의 이해: 기성시와 습작시의 비교 분석 기성시 분석: 천상병의 「무명 無名」, 김현승의 「눈물」, 김종삼의 「묵화 墨畵」, 김명수의 「바다의 눈」, 안도현의 「겨울 강가에서」, 서정주의 「선운사 洞口」, 이한직의 「낙타」 습작시 분석: 「단풍나무」, 「개밥바라기」, 「오색 약수터」, 「소년의 望鄕歌」 ㆍ제9강 개성과 독창성: 기성시와 습작품의 비교 분석 시적 긴장, 어떻게 유지해야 하나 기성시 분석: 고은의 「열매 몇 개」, 김광균의 「성북동 비둘기」, 최영미의 「지하철에서 1」, 황동규의 「풍장 17」, 천양희의 「직소폭포에 들다」, 이재무의 「때까치」와 「풍뎅이」, 박재삼의 「천년의 바람」, 박두진의 「해」 습작시 분석: 「도솔암에서」, 「토평리의 가을」, 「선운사에서」 효과와 그 사례들 ㆍ제10강 감성적 사유 기성시 분석: 김용택의 「푸른 나무1」, 안도현의 「겨울 강가에서」, 이재무의 「장작을 패며」, 조태일의 「국토 서시」 창작의 원천: 체험, 기억, 상상력 ㆍ제11강 습작품 집중 분석 습작시 분석: 「늪」, 「억새 바람 저편엔」, 「옛할매식당」, 「NATURAL HOUSE에서」, 「토평리 저문 들녘에서…」, 「입동」 시와 리듬: 김수영의 「시여 침을 뱉어라」 ㆍ제12강 기억의 길, 상상력의 길 기억은 힘이 세다: 이재무의 「송사리」와 「무덤」, 김종길의 「성탄제」 기성시 분석: 김소월의 「금잔디」, 오세영의 「음악」, 정일근의 「물소리를 들으며」, 이재무의 「오동나무」와 「팽나무가 쓰러지셨다」, 정현종의 「사물의 꿈 1」 습작시 분석: 「軍에 간 막내에게」, 「가을 속에서」 ㆍ제13강 시창작의 4단계 시창작의 4단계: 씨앗→ 성장과 발전→ 구체적 표현 →퇴고 기성시 분석: 신경림의 「갈대」, 이형기의 「낙화」, 고은의 「폐결핵」 ㆍ제14강 습작시 분석 습작시 분석: 「그대」, 「새벽 등산로에서」 기성시 분석: 이재무의 「제부도」, 이기철의 「농부와 소」 ㆍ제15강 시적 대상의 관찰법 - 외형 관찰에서 본질 발견까지 발견의 미학을 찾아라 습작시 분석: 「낙엽」, 「시간여행」, 「외출」 기성시 분석: 김현승의 「플라타너스」, 김광규의 「어린 게의 죽음」, 이재무의 「슬픔은 생의 재산」 피상적 인식, 관념적 인식, 기계적 인식 사례 ㆍ제16강 대상과 심리적 거리 기성시 분석: 이상화의 「나의 침실로」, 천상병의 「갈대」, 박남수의 「종소리」, 전봉건의 「피아노」 절제의 미학과 감동: 박목월의 「하관」, 월명사의 향가 「제망매가」 습작시 분석: 「세상사」, 「비행기 구름」, 「강물」
    GO
<< 1 2 3 4 5 6 7 8 9 10 > >>